backup‎ > ‎지난 모집합니다‎ > ‎

조선비즈 경제아카데미 9기 수강생 모집

게시자: 알 수 없는 사용자, 2014. 4. 2. 오후 10:59   [ 알 수 없는 사용자에 의해 업데이트됨(2014. 6. 25. 오후 5:57) ]

※ 합격자 발표가 완료되었습니다. (6/26 10am)

나에게 꼭 필요한 경제, 어떻게 공부할까요?

취업을 고민하는 많은 분들이 경제 상식의 중요성을 절감합니다. 또 지성인으로서 신문에 등장하는 경제 이슈만큼은 이해하고 싶어합니다. 경제는 용어가 추상적이고 개념이 어려워 혼자서 공부하기 쉽지 않습니다. 두꺼운 경제학원론은 소화하기도 어려울 뿐더러 현실 경제와 거리감이 있습니다.

영어를 배우려면 드라마, 영화, 소설, 신문 등 살아있는 영어 텍스트가 필요합니다. 마찬가지로 경제를 이해하기 위해선 경제 신문을 읽는 것만큼 빠른 길이 없습니다. 조선비즈 경제아카데미는 신문 기사를 깊이 분석하며 읽는 방법을 가르쳐드립니다. 마인드맵으로 기사를 분해하면 처음에 딱딱하게 다가왔던 텍스트의 맥락이 이해되고 오래도록 기억에 남는 신기한 경험을 할 수 있습니다.

경제 신문을 이해할 수 있는 마인드를 갖는 건 어려운 일이 아닙니다. 금리, 환율 등의 개념을 처음에 잘 몰라도 됩니다. 바른 방법으로 접근하면 누구나 할 수 있습니다. 혼자서 읽는 것에 그치지 않고 자신의 말로 표현해보아야 합니다. 또 다양한 관점에서 깊이 생각해보아야 합니다.

경제아카데미 8주의 목표는 디베이트 결선입니다. 현재 가장 떠오르는 하나의 경제적 이슈에 대하여 결선에 이르기까지 깊이있게 사안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준비 과정에서 자료 모으기, 관점 정리하기, 조별로 모여 토의하기, 입안문 쓰기, 시간에 맞추어 설득력있게 발언하기, 상대방 발표를 잘 듣고 논박하기, 최종에세이 쓰기 등을 통해 종합적으로 경제 이슈를 다루기 때문입니다. 경제아카데미를 거쳐간 분은 경제 뿐 아니라 다른 어떤 분야에서도 스스로 공부할 수 있는 훌륭한 방법을 깨우칠 수 있습니다. 또 프레젠테이션이나 면접에서 생각을 자신있게 표현할 수 있게 됩니다.

디베이트는 찬성/반대가 명확한 주제에 대해 정해진 형식에 따라 토론하는 활동입니다.
디베이트는 토론의 승부보다는 차분하고 조리있게, 정해진 시간에 맞춰 말하며 해당 사안을 균형있고 깊게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비판적 읽기와 경청하기, 설득력있게 표현하기 등 종합적인 교육 효과가 단순 암기식 학습에 비해 훨씬 탁월합니다.

 수료자 혜택
1. 조선비즈 주최 국제콘퍼런스 참관 초대 
2. 조선비즈 인턴 기자 지원시 우대

# 수강 신청이 마감되었습니다.

▲ 주    최 / 조선비즈
▲ 대    상 / 대학생, 대학원생
▲ 접수마감 / 2014. 6 .24 오후 6시
▲ 합격자발표 / 2014. 6. 26 오전 10시 개별통지 (SMS와 이메일)
▲ 수 강 료 / 20만원 (최종 선발 후 등록)

▲ 개      강 / 2014. 7. 3 (목) 오후 4시
수업일정 / 7. 3 ~ 8. 28 (매주 목요일 오후 4시 ~ 6시 20분, 8월14일 제외 총 8주간)
▲ 장      소 / 조선비즈 연결지성센터 교육장 (서울 중구 세종대로21길 22 태성빌딩 3층)
▲ 문      의 / 02-6925-2542



경제아카데미 활동 ① 아이스 브레이킹(Ice breaking)
간단한 게임으로 동기들과 조원들 간 협업을 준비합니다.

  


경제아카데미 활동  신문기사 마인드매핑과 조별 리서치
깊이 읽고 오래 기억하는 기법을 배웁니다. 신문 기사를 함께 읽고 리서치할 과제를 나눕니다.

  
  


경제아카데미 활동  디베이트 : 입안 Constructive Speech
각 팀에서 발언자의 순서를 정해 해당 주제에 대한 찬성 혹은 반대 입장을 밝힙니다.
1) 주제 해석
2) 핵심 어휘의 정의 
3) 찬/반 입장 표명 
4) 논거 설명 등 에세이와 같은 형식으로 청중과 심판을 설득합니다.
상대편은 입안의 형식과 논거가 적절한지 즉석에서 판단하여 논박을 준비해야 합니다.

  
  


경제아카데미 활동 ④ 디베이트 : 교차질의 Crossfire
상대편의 입안이 끝난 후 반대편의 발언자가 논리의 허점을 순발력있고 짧게 질문합니다. 각 팀이 정해진 시간 동안 서로 질문과 답변을 주고 받습니다. 디베이트의 마지막 부분 '전원 교차질의'에서는 모두가 발언권을 갖습니다.

  
  


경제아카데미 활동 ⑤ 디베이트 : 작전타임 Prep-time
각 팀에게 주어진 총 2분의 작전타임은 30초나 1분 단위로 잘라 디베이트 중 어느 때나 사용할 수 있습니다. 디베이트의 흐름을 잘 파악하고 자기 팀의 준비상황에 따라 전략적으로 사용합니다.

  
  


수료식과 경제아카데미 동문행사
수료 후에도 매년 삼일절 한양도성걷기 행사를 통해 동문들간의 친목을 다집니다.

  

※ 퍼블릭 포럼 디베이트 순서

동전던지기 (찬/반 결정) → 입안 (각 팀 4분) → 교차질의 (3분) → 반박 (각 팀 4분) → 두번째 교차질의 (3분) → 요약 (2분) → 전원 교차질의 (3~4분) → 마지막 초점 (각 팀 2분) → 심사자의 강평



수료자 소감

빈경진 (연세대 경제학/독어독문학 · 8기 수료)

그 어디서도 한 주제에 대해 깊게 토론하는 시간을 갖기 어려웠는데 '양적완화 축소'에 대해 깊이 있는 공부를 할 수 있어서 뜻깊었습니다. 같은 조 친구들이 서로 모르는 부분과 보충 설명을 채워가면서 공부할 수 있어서 매우 좋았습니다.

이상훈 (한양대 경영학/관광학 · 8기 수료)

그동안 스스로 했던 공부의 부족한 점들을 몇 가지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분해매핑의 활용도는 무궁무진해서 이번 아카데미를 통해 얻은 큰 수확 중 하나입니다. 토론 중 상대방의 말을 잘 듣고 이해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도 깨달았습니다.

안인경 (이화여대 경영학/영문학 · 8기 수료)

신문과 방송에서 매일 '양적완화' 하는데 그냥 지나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디베이트를 하면서 '우리한테 좀 더 유용한 자료가 있을까?' 하는 생각을 하면서 관련 기사에 주의를 하게 되었습니다. 이제 '양적완화'라는 것이 어떤 경제 현상으로 연상이 되며 경제 용어들이 다가오기 시작했습니다.

김민석 (한국외대 중국어/행정학 · 8기 수료)

토론을 참 좋아하는 편이지만 주제에 대한 편식이 심했습니다. 이번 아카데미를 통해 경제 공부를 꾸준히 심도 있게 해야겠다는 자극을 얻고 갑니다. 


김성태 (고려대 행정학 · 8기 수료)

경제아카데미 하나만으로도 충분히 알찬 방학이었습니다.
조원들과 꾸준히 연락하고 지냈으면 좋겠습니다!



 
수업일정

시수 (월/일)

1교시

2교시

1강 7/3

교육목표 소개

디베이트 소개

2강 7/10

경제칼럼 마인드매핑 실습

디베이트용 찬반 발제문 만들기 연습

3강 7/17

입안을 위한 리서치 요령

조별 리서치 실습

4강 7/24

발제문 작성 및 발표

디베이트 연습I

5강 7/31

발제문 작성 및 발표

디베이트 연습II

6강 8/7

발제문 작성 및 발표

디베이트 연습III

* 8/14

* 수업 없음


7강 8/21

디베이트 조별 예선

디베이트 조별 예선

8강 8/28

디베이트 결선

총평 및 수료식


※ 조별 활동을 위해 보강 수업이 추가될 수 있습니다. (선택 출석)

※ 출석, 퀴즈, 과제, 디베이트 참여도를 종합하여 80% 이상 점수 취득자만 수료할 수 있습니다. 90% 이상의 성취는 우수자로 별도 시상합니다.

 
수강신청이 마감되었습니다.